1) 조아제약

어떤 기업인가?

조아제약의 주력 제품음 일반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으로, 제품의 안정적인 판매처 확보를 위하여 설립 초기부터 약국 영업을 통해 전국 9000여개의 약국을 매출처로 확보했다.

자회사인 메디팜은 전국 네트워크를 갖춘 약국 프랜차이즈로, 독자절인 체인망을 유지하여 안정적인 제품 수급과 판매에 경쟁력을 갖추었다.

주요 매출을 형성하고 있는 일반의약품은 가레오 군, 훼마틴쿤, 헤포스군 등이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은 잘크톤, 조아바이톤 등이 있다.

재무재표

조아제약의 재무재표이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3년간 꾸준히 증가하고있다. 유보율과 부채비율 또한 무난한 편에  속한다.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추세이니 성장주로 접근한다면 현재 분할매수 하기에도 적절해 보인다. 시총은 약 1250억 이다.

차트

조아제약의 일봉 차트이다. 며칠전 세계 최초 돼지에 사람 이식용 장기생산 추진이라는 뉴스로 주가가 크게 올랐지만 윗꼬리를 달며 내려왔고 현재 이틀째 조정중이다. 이런 이슈임에도 가격이 높게 못가준것이 의문이 된다. 주식을 하면서 많은 뉴스와 공시가 나오지만 허위사실일때도 종종 있으니 자세히 찾아보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뉴스가 사실이라면 눌림목이라 생각되며 이슈화가 된다면 시세를 다시 크게 줄 것이다.

조아제약의 주봉 차트이다. 주봉상 크게보아 3000원 ~ 6000원의 박스권을 횡보중인 모습이다. 이번 장기생산 이슈가 주목을 받는다면 박스권 위로 올라가기 충분해 보인다.

 

 



2) 진양제약

어떤 기업인가?

진양제약은 1971년 설립되어 2000년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의약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주력제품으로 순환계용약(크리빅스정), 소화기관용약(에스졸정), 중추신경계용약(낙톤), 대사성의약품(미아릴정), 화학요법제(지나시드건조시럽) 등이 있다.

해외시장에 진출하기 위하여 해외사업팀에서 동남아의 최대 수출지역인 베트남, 중국 등에 수출 및 수출계약을 진행하고 있다.

재무재표

진양제약의 재무재표이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꾸준히 증가하며 최근 흑자기업이 되었다. 영업이익 성장성이 커보이며 성장주로 중장기 종목으로 접근해도 좋아보인다. 유보율과 부채비율 또한 양호하다. 시총은 약 492억 으로 매우 가벼운 편에 속한다.

차트

진양제약의 일봉 차트이다. 3800원 ~ 4200원의 박스권을 횡보중이며 현재 주가의 자리가 박스권을 뚫고 올라가줄지, 다시 빠져 박스권을 횡보할 것인지 결정하는 중요한 자리라 생각한다. 큰 거래량과 함께 올라주었지만 다시 내려간 이유는 지수의 영향이라 생각되며 4200원 위에서 지지해 준다면 위로는 주가가 열려있는 상황이다.

진양제약의 주봉 차트이다. 2015, 2016, 2018년 한번씩 크게 튀어주었지만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모습이다. 현재 상황과 비슷하게 3000원 ~ 5000원이 장기간 박스권이였고 올해도 한번 튀어줄지 지켜보면 좋을 것 같다.

3) 경인양행

어떤 기업인가?

경인양행은 1977년 설립되어 1995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 염료산업 및 사카린을 비롯한 화학산업을 주요사업으로하며 9개의 계열회사를 보유했다.

사업부문은 신발창용 PUS, 합성피혁용 SCA 등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생산 및 판매하는 FT소재 사업 등이 있다.

설비투자 규모가 제지, 화학비료, 시멘트 등과 같은 장치위주의 대량생산체제규모보다 작지만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어진다.

재무재표

경인양행의 재무재표이다. 매출액은 3년간 증가해주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최근 증가해주었다. 성장성은 있는 기업이라 생각되며 유보율이 높고 부채비율이 낮아 안정적인 기업으로 보여진다.

차트

경인양행의 일봉 차트이다. 6000원 ~ 6800원의 단기 박스권을 횡보중이며 꾸준히 거래량이 나오고있다. 이런 기세에 힘을 받아 주가가 올라줄지 지켜보아야겠다.

경인양행의 주봉 차트이다. 주봉상 5000원 ~ 7000원의 박스권을 횡보중이며 저 박스권을 뚫고 올라가줄지 지켜보아야겠다. 경인양행은 삼성 폴더블폰으로 시세를 조금 주었고 현재 그래핀 관련주로도 알려졌지만 주가는 크게 움직여주지않았다. 이 두가지 이슈를 가지고 있으니 박스권을 나오기 좋은 때라 생각한다.

+ Recent posts